현대 자동차 디자인은 과거와 다르게 다양한 광휘재를 사용해 다양한 칼라를 개발하고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동차 칼라디자인에 사용되는 다양한 광휘재에 대해서 알아보자
1) 무기안료
- 광석으로 이루어지며 색상은 White, Yellow 등의 색상을 나타낸다 특징으로는 솔리드 색상에 가장 많이 사용되며 다른 안료대비 물성이 우수하다
2) 유기안료
- 합성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나타내는 색상은 Red, Blue, Yellow, Green 등 우리가 흔히 보는 유채색 칼라를 나타낸다
특징으로는 무기 및 광휘재와의 다양한 혼합으로 인해 새로운 칼라들을 개발할 수 있으며 색상 트렌드를 잘 나타내준다
3) 알루미늄
- 구조는 알루미늄이며 입자의 크기나 두께에 따라 다양한 휘도와 밝기를 나타낸다 광휘재의 대표적인 원료로 최근 고휘도 및 고명도의 칼라개발에 주로 사용되는 재료이다 고급차에도 다양한 타입의 알루미늄이 적용된다
4) 착색알루미늄
- 알루미늄에 유기안료를 코팅한 제품으로 유기안료의 색상에 따라 다양한 색을 나타낸다 광휘재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채도를 낮춰주는데 반해 고채도 및 선명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는 반면 다양한 물리적 내구성을 사전에 평가해야 한다
5) 마이카
- 마이카는 산화철 또는 Tio2 로 코팅이 되며 착색 및 간섭 마이카 효과로 이펙트를 나타낸다 고휘도 및 고명도 칼라 개발 시 사용되며 균일한 입자분포도를 가지는 재료를 선호한다
6) 칼라스트림
- 칼라스트림은 알루미늄을 코팅하는 두께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한 제품에서 보여준다 단순한 칼라를 칼라스트림을 사용시 여러 가지 색상의 변화를 보여줄 수 있는 반면 고가로 일반도료에 적용하기에 경제적인 부담이 따른다
7) 실라릭 펄
- 알루미늄에 Tio2 코팅을 한 제품으로 코팅 두께에 따라 다양한 색을 나타낸다 일반 마이카 펄 제품 중에 가장 고가이며 퀄리티가 우수하다
8) 글래스플레이크
- 글래스에 Sio2 코팅을 한 제품으로 입자 크기로 스파클 한 외관을 보여준다 굴절률이 높은 Sio2 코팅을 사용함으로 고휘도 및 강렬한 색상을 개발할 때 사용된다
1) 간섭마이카에 유기안료 입자들을 부착시켜 2가지 색상을 보이도록 설계한다
2) 마이카에 Fe3o4 를 코팅한 흑산화철 운도로 측면각에서 어둡게 되며 깊이감이 있는 색상 개발을 할 수 있다
3) 마이카에 PD 를 증착코팅하여 은백색의 고휘도 제품을 개발한다
4) 마이카에 PT를 증착코팅하여 은백색의 PT광택감을 개발한다
5) 마이카에 Ni를 증착코팅해 Ni 의 금속 느낌을 내며 소재의 색감을 나타낸다
6) 중간 사이즈의 알루미늄 안료에 Tio2 를 부착한 안료로 측면 각에서는 청백색을 나타내면 정면은 노란색감을 나타낸다
7) 중간 사이즈의 알루미늄 안료에 유기 안료를 부착 후 카본블랙을 추가로 코팅해 줌으로 이중 코팅으로 정면에서 반사도
높다
8) 기존 알루미늄 사이즈보다 작은 사이즈의 제품으로 기존 제품대비 미세하고 파인한 백색도의 칼라를 개발한다
9) 판상산화철의 중아에 입자적으로 최대로 크게 해서 휘도를 극대화시킨다 알루미늄과는 다른 휘도를 나타내며 거울
같은 고급진 반사굴절율을 만들 수 있다
10) 각종 크기의 알루미늄에 유기안료를 부착시켜 준다 유기안료 타입에 따라 채도가 높고 선명한 칼라 개발 가능하다
11) 박막의 글래스플레이크에 은을 증착 코팅해 준다 각종 광휘제중 가장 큰 최고의 휘도값을 나타낸다
12) 신규 광휘재와 혼용성 있는 소재로 개발 중이며 착색력을 증가시키고 채도를 올려준다
1) 일반 마이카
- 구조 : 마이카에 Tio2 코팅
- 특성 : 마이카 자연광물을 반사판으로 이용하며 간섭효과에 따른 색상이 표현되고 합성마이카 대비 색감이 저하된다
2) 합성 마이카
- 구조 : Al2o3 에 Tio2 코팅
- 특성 : 합성물질을 반사판으로 이용하며 간섭효과에 따른 색상이 일반마이카 대비 고채도 및 고광택을 보여준다
3) 카멜레온 마이카
- 구조 : Sio2 에 Tio2 코팅
- 특성 : 합성물질을 반사판으로 이용하며 합성물질의 빛의 굴절에 따라 카멜레온 칼라효과를 보여준다
4) 착색 알루미늄
- 다양한 유리안료와의 부착으로 인해 여러 가지 메탈릭 칼라를 보여준다
- 일반 알루미늄 대비 높은 채도의 칼라를 만들 수 있다
- 단독으로 사용보다 다른 조색제와의 혼합으로 인해 더 높은 채도의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
- 과거에는 조색제의 의존도가 높았으나 지금은 단독으로 사용가능하
1) 달러타입
- 밝기가 가장 좋으며 백색도 또한 좋다 하지만 은폐력은 부족하다
2) 중간타입
- 밝기가 좋은 편이나 백색도는 제일 좋으며 은폐력도 좋은 편이다
3) 콘플레이크타입
- 밝기는 가장 떨어지며 백색도는 평균값을 가지며 은폐력은 가장 우수하다
5. 액상실버
- 기존에 소개한 광휘재 및 알루미늄 대비 가장 휘도가 좋으며 거울처럼 반사도를 극대화한 제품이다
- 제품의 특성은 액상의 형질을 가지고 있으며 알루미늄의 두께가 극도로 얇다
- 알루미늄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교반시 힘의 전달이 과하게 되면 입자가 깨질 수 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 일반 알루미늄 대비 물성적으로 취약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사용 전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1) 일반 마이카
- 파티클의 따라 다양한 두께를 나타내며 칼라도 다양하다 빛이 들어왔을 때 난반사를 일으켜 반사시켜 준다
2) 합성 마이카
- 파티클마다 두께는 다르지만 각각 단일의 파티클은 동일한 두께를 가진다
3) 카멜레온 마이카
- 파티클마다 동일한 두께를 유지하며 선명한 색상 및 다양한 색상을 빛의 굴절율에 따라 보여준다
- 고채도 및 우수한 은폐력
- 실버달러 형태의 칼라알루미늄은 고채도 제품의 개발에 용이
- 우수한 플립플롭 효과
- 자동차 및 고성능 외관을 요구하는 코팅분야에 적용가능
- 정해진 입자사이즈에 좁은 분포도를 가지고 있음 (Particle Size Distribution)
- 도료 및 잉크 산업 전반에 사용할 수 있는 상용성
-도료의 내구성 및 물성을 개선시켜줌
미국의 도료 환경규제와 방안 (0) | 2024.01.25 |
---|---|
한국의 도료 환경규제 (1) | 2024.01.25 |
페인트 성능을 개선해주는 첨가제 및 용제 (1) | 2024.01.24 |
페인트 도료의 타입별 분류 방법 (0) | 2024.01.23 |
자동차의 색상을 맞추는 조색 (Color Matching) (1) | 2024.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