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페인트 도료의 타입별 분류 방법

미래산업

by 김가민가씨 2024. 1. 23. 17:00

본문

1. 도료의 분류 방법

 

 1) 도료의 주성분인 수지에 따른 분류

 - 에폭시도료, 염화고무 도료, 비닐도료, 알키드도료, 우레탄도료, 실리콘도료, 폴리에스터도료 등

 

 2) 도료의 용도에 따른 분류 

 - 공업용도료, 목공용도료, 건축용도료, 자동차도요, 캔코일도료, 중박식도료, 선박용 도료, 바닥재도료등

 

 3) 도료의 경화 조건에 따른 분류

 - 화학반응형도료, 소부형도료, 자연건조형도료, 산화반응형도료, UV경화형도료

 


 

 


 

2. 도료의 수지에 의한 분류

 

 1) 에폭시도료(Epoxy resin paint)

 

 - 반응기가 2개 이상인 Epoxide 기와 활성수소기를 가진 아민 경화제가 결합이 되어 도막이 형성되는 도료로 내식성

   내약품성 등이 매우 우수하며 선박 및 중방식용 도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 2액형 도료로 주제인 에폭시수지와 경화제인 아민으로 구성되어 도장작업을 하기 전에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해서

   작업한다

 -에폭시수지 장점은 소지부착력이 뛰어나며 방청성과 내약품성 그리고 기계적 물성이 좋다

 - 에폭시수지 단점은 2액형으로 경화제를 사용해야하며 내후성이 취약해 시간이 지나면 황변현상이 발생하며 

    경화시간이 길고 재도장을 해야하는 주기가 짧다

 

 2) 우레탄도료(Urethane resin paint)

 

 - 아크릴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을 통해 경화하는 타입으로 내후성이 뛰어나 주로 상도 마감용으로 사용한다

 - 2액형 도료타입으로 주제인 폴리올 수지와 경화제인 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레탄 결합을 가지고 있다

   도장작업을 하기 전에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해서 작업한다

 - 우레탄도료 도장시 습도가 높아지거나 수분이 침투하게되면 물속의 Hydroxyl group 과 반응을 일으켜 도막을 형성후

   물성에 안좋은 영향을 가져온다

 - 우레탄도료의 장점은 내후성이 뛰어나며 장기간 색상과 광택이 유지되며 저온에서 경화가 가능하다

 - 우레탄도료의 단점은 2액형으로 경화제가 필요하며 습기와 반응을 한다

 

 3) 알키드도료(Alkyd resin paint)

 

 - 알키드수지는 다가알코올 및 다염기산을 합성하여 만든다

 - 알키드수지 도료의 성능은 수지의 합성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좌우된다

 - 알키드수지는 건조가 빠르며 도막이 플렉시블하며 광택 유지력이 좋다

 - 도장 후에 공기중의 산소와 반응해 경화가 진행된다

 

 4) 염화고무도료(Chlorinated Rubber paint)

 

 - 염화고무수지를 용제에 용해해 수지로 사용해 만든 도료로 경도가 낮아 부숴지기 쉬우므로 가소제를 같이 사용해야한다

 - 도막을 경화시킬때 용제 증발이 일어나기 때문에 건조가 빠르며 동절기에 작업성능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 재도장 및 내수성이 뛰어난 반면에 열가소성 타입으로 열에 약하다

 - 약 60 ℃ ~ 70 ℃ 에서 도막이 연화되고 130 ℃ 이상에서 열분해 된다

 

 5) 비닐도료(Vinyl paint)

 

 - 염화비닐과 초산비닐의 공중합체로 수지를 MEK와 같은 용제에 용해 시킨 도료

 - 내약품성, 내후성, 내수성이 우수하며 속건성으로 도막사이의 층간부착도 우수하다

 - 70 ℃ 이상의 온도에 장기간 놓이면 도막성분이 분해되거나 황변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6) 무기질도료(Inorganic Zinc paint)

 

 - 무기징크도료는 중방식등의 철재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현재 나온 다른 타입의 도료보다

   가장 우수한 방청효과를 지닌 도료이다

 - 무기질 수지인 실리케이트와 안료인 필러가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 및 반응시켜 음극방식에 의한 방청력이 우수하며 

   자외선, 비, 눈, 세균 등 다양한 주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약 400 ℃ 까지 내열성도 가지고 있다

 - 도료 제조과정에서 약 85%를 가수분해 시키며 나머지 15% 는 대기중의 수분과 반응해 경화되며 징크파우더와도

   물리적인 반응을 한다

 

 7) 방오도료(Anti-Fouling paint)

 

 - 선박이 운항시 바다에 잠기게되는 부위에 해양 생물 (해초류, 조개류등)이 표면에 부착해 번식을 하게된다

   이로 인해 선박의 저항치가 올라가게되며 속도의 저하 및 연료비 상승을 초래한다

 - Soluble Matrix type, 수지가 로진으로 구성되며 이 로진은 바닷물 속에서 아주 느린 속도로 용해되며

   방오물질이 천천히 방출되며 수명은 12개월 정도이다

 - Insoluble Matrix type, 수지가 바닷물 속에서 용해되지 않으며 방오물질만 배출함으로 도막은 다공질의 골격을

   이루게 된다 결국 방오물질이 방출되지 않으면 방오성은 없어진다 수명은 24개월이다

 - SPC Type(Self-polishing copolymer), 화학적결합을 가지며 이러한 결합은 ph8 이상의 알칼리에서 가수분해가 이루어져

   수지가 아크릴 산의 공중합체가 되어 약 알칼리인 해수에서 용해되는 특징을 보여준다 방오 독소와 수지분이 동시에 

   소량씩 해수에 씻겨 없어지며 시간이 지날수록 표면을 이루며 새로운 방오력이 유지되어 해양생물의 부착을 방지한다

 

 8) Tin Free Anti-Fouling 도료

 

 - Tin Free 방오도료 수지는 단순히 Tin 만을 제거하여 다른 물질로 대체 즉 TBTO 를 결합해 Zinc 나 Copper 를 이용해

   Metal ester와 Trialkyl silyl 을 이용해 개발되었다

 

 9) 실리콘도료(Silicone paint)

 

- 실리콘 수지는 실록산기를 가지는 폴리머로 관능기로 보통 수산기, 메톡시, 메틸기, 페닐기를 사용한다

 - 실리콘 수지는 전통적으로 내열성이 뛰어나고 600 ℃까지 열을 견딘다 내후성과 내수성도 우수해 물성변화가 적다

 - 우수한 전기적 특성과 계면특성을 가지고 있다

 - 도막은 메틸기가 많으면 발수성과 슬립성이 높아지고 탄성성질을 가지며 반대로 페닐기의 함유량이 높아지면

   경도가 증가하며 내열성이 올라간다

 - 실록산 구조중에 관능기가 적으면 도막이 유연해지고 건조성이 좋지않으며 관능기가 많아지면 도막이 단단해진다

 

 10) 방청도료

 

 - 반응억지효과, 산화제를 사용해 철표면에 산화피막을 형성하며 철의 표면을 부동태화 시키거나 알칼리 금속염등을

   사용해 PH 를 알칼리 성분으로 변화시켜 방청효과를 부여한다

 - 차단효과, 일반적인 안료는 구형으로 형상을 뛰지만 편상의 모양으로 알루미늄이나 산화철을 사용해 방청을 일으키는

   물, 산소 등의 침투를 막아주고 지연시켜 방청효과를 부여한다

 - 음극보호방식, 철의 부식을 방어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철보다 이온화가 좋은 금속을 사용해 철을 보호하고 자신이

   희생되며 방청성을 부여한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