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심해지는 기후변화로 인해 봄, 가을이 짧아져 가고있고 반면에 여름과 겨울은 길어지고 있는데요.
숲과 바다가 아닌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심해지는 기후변화를 체감하고 있습니다.
또한 에너지 수급 부족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죠.
또한 가스비와 전기 요금이 인상이 되면서 서민들이 주로 사용하는 등유 가격 또한 같은 기간대비 60% 이상 넘게 오르는 등 추운 겨울나기가 예상되어 집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은 에너지 사용이 급증하는 겨울,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여주는 단열성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장 먼저 신경써야할게 단열성인데요.
단열성(Insulation)은 물체와 물체 사이에 열이 통하지 않도록 막는 성능을 말하며 한마디로 열전도율을 낮습니다.
이러한 원리로 건축물을 지을때 단열성이 좋은 건자재들을 사용해 외부와의 열 교환을 차단하며 내부의 열이 새어나가는 것을 막아주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해줍니다. 결국 적은 에너지를 사용해서 높은 효율을 내는 것이죠.
1) 단열재 사용
- 서두에 설명드렸듯이 건축물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단열재를 사용하게 되면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으면 이러한 단열재에는 유리섬유, 셀룰로스 섬유, 폴리우레탄 등의 물질이 사용됩니다.
2) 열 다리 방지
- 건물 내외부를 연결하는 부위에서 열 다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줍니다. 열 다리가 발생하면 열전도율을 높여 주기 때문에 적절한 단열재 및 소재를 사용하여 열 다리를 방지합니다.
3) 창문 및 문의 단열성 개선
- 창문과 문은 열전달이 가장 쉽게되는 경로 중 하나입니다. 단열재나 이중접합 유리등을 사용하여 열전달을 낮추고 항상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해 내부 온도의 변화를 최소화 합니다.
4) 외피의 단열성 개선
- 건물의 외부에 단열재를 적용해 열전도율을 낮추어 줍니다. 천장 및 외벽에 단열재를 설치합니다.
5) 층간소음재의 활용
- 층간소음재는 열전달 뿐만 아니라 소리전달 또한 막아줍니다. 따라서 단열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6) 적절한 창문 및 베란다 설계
- 좋은 재료를 사용해 열전달을 차단하는 방법도 있지만 건축물의 창문과 베란다를 구조적으로 잘설계를 하면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건물의 위치와 방향,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가능합니다.
1) 유리섬유 (Fiberglass)
- 주변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단열재 중 하나입니다. 유리섬유는 가벼우며 내구성이 뛰어나 주로 벽, 천장, 지붕 등 작업하기 어려운 부위에 사용되어 집니다.
2) 셀룰로스 섬유 (Cellulose Insulation)
- 나무와 종이 섬유로 만들어진 복합 단열재로 리사이클링 원료등 재활용 원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친환경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부식이나 곰팡이에 강한 성질을 가집니다.
3) 폴리우레탄 스프레이 폼 (Polyurethane Spray Foam)
- 발포성 폴리우레탄으로 만들어진 폼으로 개방된 건축물 부위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 다른 단열재 대비 부착성능과 단열성이 좋습니다.
4) 액체 확산식 고무 (Liquid Applied Rubber)
- 액체 상태로 작업해서 바른 뒤 고체로 건조되는 단열재로 건축물의 구멍과 틈새등을 메워주기 위해 사용됩니다.
5) 폴리이소시아네이트 (Polyisocyanurate)
- 폴리우레탄과 구조적으로 유사하지만 열 전도율이 더 낮아서 지붕이나 벽 등에 주로 사용되며 주로 패널 형태로 제공됩니다.
6) 바탕 셀룰로스 (Aerogel)
- 단열재 중 가장 가벼운 측에 속하는 재료로 열전도율 또한 낮습니다. 하지만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기 때문에 주로 특수한 용도로만 사용됩니다.
7) 로크우울 (Rockwool)
- 암석 소재에서 만들어진 단열재로서 내화학성 및 방음성이 우수하며 다른 재료 대비 경도가 높아서 벽이나 바닥 등 고경도를 요하는 부위에 사용됩니다.
1) 대림씨엔에스 (Daelim C&S)
- 건축 소재 및 시스템을 전문으로 생산하는 대표 기업 중 하나로 단열재 외에 다양한 건축 소재를 공급합니다.
2) 삼익이엔씨 (Samick ENC)
- 건축 소재 및 인테리어 소재 분야에서 다양한 제품을 공급중이며 건축물의 외피 소재와 내장재 등을 생산합니다.
3) 대양금속 (DaeYang Metal)
- 건축재료 및 철강 관련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단열재 및 외피 소재를 공급중 입니다.
4) 코오롱인더스트리 (Kolon Industry)
- 다양한 화합물 및 고분자 원료를 생산하며 건축소재 또한 생산하고 있습니다.
5) 롯데케미칼 (Lotte Chemical)
- 화학 및 플라스틱 소재를 전문으로 생산하는 기업으로 건축 분야의 소재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6) 티티케미칼 (TT Chemical)
- 폴리우레탄 및 화학 소재 생산 기업으로 단열재 및 고급 폴리우레탄폼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7) 삼성물산 (Samsung C&T)
- 건설, 소재, 상업,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하고 있으면 건축 소재 재료도 생산하고 있습니다.
1)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DDP)
- 서울 동대문에 위치한 DDP는 고밀도의 폴리우레탄 단열재가 사용되었습니다. 단열재의 사용으로 건물 내부의 온도를 유지해주고 친환경 소재의 활용으로 건물의 디자인적 가치 또한 높였습니다.
2) 국립현대미술관 (MMCA)
- 국립현대미술관은 단열재의 사용으로 미술관 안에 전시되는 수많은 작품들을 보호하며 방문자들에게도 쾌적한 관람을 위한 환경을 제공해 줍니다.
3) 잠실 올림픽 주 경기장
- 잠실 올림픽 주 경기장은 건물 외벽에 단열재를 사용하여 외부에서의 온도영향을 최소화하려 신경 썼습니다.
이는 규모가 큰 경기장을 만드는데 필요하며 안정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4) 인천 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ICN)
- 인천 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은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공항중에 하나입니다. 올바른 단열재의 사용으로 내부 온도를 안정화 시키고 냉난방 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 하는데 집중하였습니다.
미래 글로벌 자동차 기업의 경쟁구도 (0) | 2024.01.18 |
---|---|
세계최초 서울 심야 자율주행 버스 운행 개시 (0) | 2024.01.18 |
차량 내부 온도상승 관리를 위한 차열 도료의 중요성 (0) | 2024.01.17 |
도심항공 모빌리티 UAM(Urban Air Mobility) 산업전망 (0) | 2024.01.17 |
자율주행 기술의 현황과 미래 전망 (0) | 2024.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