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국의 도료 원료 사용량은 82억 달러 규모로 마감도료의 생산량은 183달러이다
2) 지방족 탄화수소계 유기 용제의 사용은 1970년대 이후 30% 감소했는데 이는 1960 ~ 1970 년대 초 건축용 도료시장에
수용성으로 전환된 게 주된 원인이다
3) VOCs 배출 저감을 위한 노력들로 인해 유기용제의 사용량이 많이 감소했다
4) 남부캘리포이나 및 OTC 지역의 강력한 환경 규제로 앞으로 유기용제의 사용은 더욱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5) 미국의 도료 제조업 및 설비의 수는 1960년대 이후로 계속 감소하는 추세로 1500개 이상의 공장과 1800 개 플랜트가
문을 닫았다
6) 도료업체가 계속 감소하는 추세로 최근에도 M&A로 업체가 감소되고 있다
7) 도료업체의 감소로 인해 고용직원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8) 미국도료 산업의 상위 10개 업체가 전체 시장 매출의 8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9) 연간 매출액 1억달러 미만의 중간규모 업체는 소수이며 소규모 업체는 각 지역 시장에 특화되 있다
10) 도료제품 농도는 갤론당 12파운드 정도이며 연간 생산량은 180억 파운드 정도이다
11) 도료 수요의 성장률의 주요 어플리케이션은 건축용 도료이다
12) 1970년대에는 고용분이 낮은 도료의 마감 도료 시장이 80% 정도 차지하고 있다
13) 2000년대 이후에는 산업의 해외로의 이전으로 마감용 도료의 수요가 감소하고 있다
14) 환경에 대한 규제가 점점 강해짐에 따라 저용제 및 무용제 도료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15) 전체시장의 50% 이상이 건축용 도료이며 수용성 및 하이솔리드등 친환경도료는 60% 정도를 차지한다
1) 건축용 중 주택에 사용되는 도료는 전체의 65%를 차지하며 내장용 도료가 80%, 외장도료의 70%가 수용성이다
2) 건축용 도료의 메인 제품으로 50% 이상의 점유율을 보이는 저광택과 바닥도료 제품에 수성제품의 비중이 더 높으며
내장재 바닥재 도료의 90%, 외부 바닥재용 도료 80%가 수성도료이다
3) 소재의 종류에 따라 수성 및 용제용 도료의 사용이 차이가 크다 예를 들어 석조나 벽돌용 도료 90%에 라텍스가 쓰인다
4) 라텍스에는 아크릴등의 폴리머로 구성이 되며 비닐아세테이트가 주원료로 사용된다
5) 도료산업이 성장하며 아크릴에 대한 수요는 급격히 증가되었는데 이는 내장재에 사용되는 아크릴이 세정성 및 오염성
내알칼리성 등을 개선시켜 주며 비닐아크릴라텍스의 사용으로 세정성을 더 개선시켜 준다
6) 고광택 시스템은 전체 건축용 도료의 40% 이상을 차지한다
7) 반광택 도료는 바닥재에 쓰이기보다 주방 및 욕실등 소비자들이 원하는 선호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이다
8) 고광택 도료는 반대로 반광도료의 증가에 따라 수요가 감소하는 추세이며 용제형 알키드에나멜은 고광택 도료 시장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고 앞으로 라텍스의 소비는 환경규제, 물성 개선을 위해 수요가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9) 특수마감용 도료는 용제형 제품이 메인제품으로 목공용, 하부도료, 프라이머 등에 사용된다
10) 라텍스도료는 습도가 높고 기온이 낮아지면 건조시간이 길어지며 광택에도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점으로 목재 가구에
사용하는데 제약이 따른다
11) 수성제품은 동량 수준의 용제제품 보다 저렴하지만 고용분이 낮고 건축용 도료는 아크릴 및 비닐아크릴 제품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12) 저가형 비닐아크릴 바닥재도료가 시장에 주를 이루고 있으며 최근 아크릴이 건축용 시장의 성장보다 빠르게 사용량이
증가했고 물성적으로 더 유리하다
13) 건축용 도료 산업은 각종 환경규제와 VOCs 배출 저감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United states green council 이
Leadership in Energy & Environmental design(LEED) 을 통해 지속적인 압력을 가하고 있다
14) 현재 북미 건축용도료 시장의 10% 미만이 VOCs 함량이 제로에 가까운 제품들도 이루어져 있고 향후 건축업자들이
신축 건물을 지을 시 LEED의 Green seal 제도를 점차 적용할 것으로 보인다
15) 바닥재 도료의 VOC 함량은 리터당 50g 이하로 제한하고 있으며 바닥재가 아닌 부문은 150g 이하로 제한한다
16) 미국은 땅면적이 넓고 주거면적 또한 넓어서 도료의 사용량이 높다
17) 건축용 도료의 소요량은 Do-it-yourself(DIYs) 제품보다 업체에서 구매해서 소요하는 양이 더 높다
18) 새로운 규제를 채택하는 캘리포니아 및 OTC 에서는 용제형 도료의 점유율이 낮이질 것으로 전망된다
19) 건설업체에서 구매해서 사용하는 도료의 비중가운데 80% 는 직영판매업체에서 사용하며 나머지 5% 정도는
민간판매업체이다
20) 대형 건설업체들은 주요 메이커 브랜드의 사용을 선호하며 주로 직영판매업체를 통해 도료를 구입한다
21) 미국의 도료 생산업체는 생산 효율성과 자동화를 위해 공동 연합체를 구성했다
22) 도료제조 시 솔리드 공정을 단축하기 위해 필러, 안료, 레진등의 원료를 슬러리 형식으로 공급받아 사용한다
1) 목공용 가구에서 인테리어 가구가 60% 를 차지하며 주방용 도료는 25% 사무용 가구는 20% 의 점유율을 보여준다
2) 목공용 도료는 다양한 타입의 수지를 사용하며 탑코트가 전체 물량의 절반을 차지한다
3) 우레탄 및 폴리에스터 2개의 수지와 아크릴 하이솔리드 제품은 사용에 한계가 있다
4) 환경규제가 더욱 심해지며 VOCs 함유 제품이 줄고 있으며 데체품으로 수성용 아크릴 제품이 사용되고 있으며
VOC에 해당하지 않는 용제의 사용으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5) MDF 도장에 UV 및 분체도료 사양이 적용되었으나 설비 및 시설의 비용문제로 상업화로 이어지진 않는다
6) 목재용 가구는 중국에서 제일 많이 수입이 되며 내수시장의 40% 가까이 차지하고 있다
7) 중국은 유럽의 메인 도료 제조업체가 현지 진출하기 때문에 가구용 목공 도료의 시장성장이 많이 이루어졌다
8) 가구용 도료 생산업체로 발스파, 악조노벨, PPG, 쉐링윌리엄 등이 있다
1) 캔코일 및 마감용 도료는 산업용 시장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 2000년 초 미국기준 캔의 연간생산량은 1400억 개다
3) 맥주 및 음료캔이 전체 캔생산량의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음식물 캔은 25% 나머지는 도료 및 드럼 캔이다
4) 캔 코팅은 내용물에 의해 부식 및 산화방지를 위해 내부코팅을 통해 내구성을 향상해준다
5) 캔은 종류에 따라 투피스, 쓰리피스로 나누어지며 알루미늄 캔이 시장의 주류일 때는 쓰리피스 캔이 주요 제품이었다
6) 알루미늄 캔은 철캔보다 부식이 덜하기 때문에 도료의 사용량이 더 적게 들어간다
7) 음료용 캔 코팅은 수계용으로 사용되며 내부는 에폭시용, 외부는 아크릴 타입이 사용된다
8) 생선이나 육류를 저장하는 캔의 내부코팅은 용제형 타입이 사용되며 채소 및 과일을 저장하는 캔의 내부코팅은 아크릴
타입의 제품이 주료 사용되며 선명한 백색 특징을 띤다
9) 음료 캔의 외부 코팅은 수용성 폴리에스테르와 아크릴로 여러 번의 도장을 거친다
10) 음식과 애완용 캔의 외부 코팅 도료의 메인공급사는 PPG와 Valspar 이다
11) 금속 철재용 드럼에는 연간 350만 갤런이 사용되며 이 분야는 플라스틱 제품으로 대체되어 가고 있다
1) 자동차 도료는 주요 산업 중에 하나이며 갈수록 증가하는 자동차 생산과 함께 성장 중이다
2) 자동차 생산 시 도장공정은 전체 비용 중 가장 비싸며 미국의 경우 연간 8000만 파운드의 대기 방출 및 2400만 파운드
의 폐기위험물이 발생한다
3) 일부 자동차 제조사는 도료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그중 하나는 베이스와 중도 공정을 합치는
것이다
4) 포드는 수용성 도료의 사용보다 VOC 저감을 위해 하이솔리드 도료를 개발하고 있다
5) 도장설비의 발달로 낭비되는 도료의 양을 줄였으며 베이스칼라를 생략해 에너지를 절약했다
6) 용제타입의 도료는 내스크래치성 및 외관물성이 좋아 수용성 도료보다 선호된다
7) 내장도료와 보수도료에는 에폭시 제품이 사용되는데 내화학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환경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8) 폴리에스터 분체도료의 사용도 증가하는데 에폭시보다 내구성이 부족하지만 햇빛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다
9) 폴리에스터 도료는 휠, 내장도어, 버튼류등 다양한 부품에 사용된다
10) 자동차 중도 및 상도 공급하는 주요 업체는 PPG, BASF, Akzo Nobel, Dupont 등이 있다
중동 및 동유럽의 도료 시장 (1) | 2024.01.28 |
---|---|
유럽의 어플리케이션별 도료 시장 (0) | 2024.01.27 |
한국의 산업별 도료시장 (0) | 2024.01.26 |
미국의 도료 환경규제와 방안 (0) | 2024.01.25 |
한국의 도료 환경규제 (1) | 2024.01.25 |